Notice&News 15 페이지

본문 바로가기

Notice
& News

2012.08
02

TV가 연기 속으로 사라지다(TV goes up in smoke)

   2월에 웹사이트를 선보인 이후, 딕슨박시는 UKTV의 대표 엔터테인먼트 채널인 와치(Watch)의 리브랜딩을 완성시켰고 채널 와치를 놀라움과 호기심 가득한 채널로 변화시켜 줄 여러 가지 아이덴티티의 마지막 부분을 완성했다.  기사 제공│월간CA 7월호   CLIENT UKTV AGENCY 딕슨박시(DixonBaxi) http://www.dixonbaxi.com 2월에 웹사이트를 선보인 이후, 딕슨박시는 UKTV의 대표 엔터테인먼트 채널인 와치(Watch)의 리브랜딩을 완성시켰고 채널 와치를 놀라움과 호기심 가득한 채널로 변화시켜 줄 여러 가지 아이덴티티의 마지막 부분을 완성했다. 브리프는 시청자들에게 초자연적인 경찰들이 등장하는 쇼 ‘그림 앤드 프라이미벌 : 뉴 월드(Grimm and Primeval:New World)’ 같은 흥미진진한 새 시리즈들의 런칭한다는 것을 알려주는 것으로, 에이전시는 좀더 드라마틱했던 와치의 기존 모습과는 사뭇 다른 방식을 선택했다. “우리는 특별하면서 놀랍고 일상적이지 않은 아이디어를 생각했고, 클라이언트에게도 콘셉트를 벗어난 것들도 고려해달라고 밀어붙였다.” 딕슨박시의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아포르바 박시(Aporva Baxi)가 말한다.    프로젝트의 핵심은 새로운 로고를 디자인하는 것이었다. 이 로고의 반원은 데이브(Dave)나 예스터데이(Yesterday)같은 UKTV의 다른 채널들의 원형 로고들과 맥락을 같이하고 있다. 하지만 ‘사라진’ 반쪽은 다양한 가능성을 위해 열려 있는 것일 수도 있고, 박시가 예로 든 것처럼 ‘콘텐츠, 아이디어, 그리고 기대하지 못한 것들’을 일 수도 있다. 아이덴티티는 아날로그(Analog)와 콜라보레이션으로 제작했으며, 연기가 무지갯빛으로 피어오르기도 하고, 크리스털이 부서져 흩날리기도 하며, 액체가 슬로모션으로 움직이며 첨벙거리기도 하고, 장난기 가득한, 부드러운 털을 뭉쳐 만든 공 가족들이 통통 뛰어다니기도 한다. 박시는 이 시퀀스들이 저마다의 특색을 보인다는 점을 특히 기쁘게 생각한다. “그 장면들을 통해 경이로움, 재미, 아름다움의 순간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또 우리가 만든 채널의 또 다른 측면인 강한 에너지와 대조를 이루기도 한다. 또 한 가지, (매시브 뮤직(Massive Music)이 제작한) 사운드는 미니멀하면서도 스타일리시한 퀄리티로 다른 방식들과는 다른 느낌을 준다.”   ​ [출처] http://magazine.jungle.co.kr/cat_magazine_special/detail_view.asp?master_idx=14896&pagenum=1&temptype=5&page=1&code=&menu_idx=95&main_menu_idx=42&sub_menu_idx=52&all_flag=1   

2012.08.02

2012.08
02

QR코드, 누구냐 넌?

버스정류장이나 지하철역, 웹 등 네모난 특수기호를 보면서 스마트폰으로 스캔을 해 본 경험이 있을 것이다. 정사각형 속 흑과 백의 수십 개 픽셀로 이루어진 네모난 특수기호! 바로 QR코드이다. 에디터 | 이은정 객원기자 (eunjungb1115@naver.com) QR코드는 최근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변화하는 생활패턴의 영향으로 활용빈도가 매우 높아졌다. 스마트폰과 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전용 앱만 있으면 누구나 쉽게 사용 가능하다는 점 때문에 사용자뿐 아니라 기업의 마케팅 전략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QR코드란? QR코드란 ‘Quick Response’ 즉, 빠른 응답의 약자로 일본의 덴소 웨이브(Denso Wave)에 의해서 개발된 2차원 구조의 기호다. 대중적인 사용을 위해 특허권을 행사하지 않겠다고 하면서 1994년에 전세계에 배포되었다.   QR코드는 바코드가 갖고 있는 숫자코드의 한계를 뛰어 넘는다. 이미지와 동영상, 텍스트 등 다양한 데이터를 간편하게 인식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 인터넷 주소를 직접 입력하지 않고 스캔만 하면 접속이 가능한 편리성이 특징이다. 또한, 가로세로 양방향으로 데이터를 표현하고 있기 때문에 바코드보다 더 작은 사이즈로 표시가능하며, QR코드 안에 큰 사각형의 위치 찾기 심볼로 인해 90도나 180도로 방향을 전환한 상태에서도 인식이 가능하다. 그 밖에도 오류 복원 기능으로 QR코드가 일부 손상이 되거나 오염이 되도 복원할 수 있으며, 배경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기 때문에 QR코드는 어디서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QR코드의 용도 QR코드가 처음 등장했을 때는 기존 바코드를 대체하는 개념으로 보급이 되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스마트폰 유저의 증가로 인한 사용자의 증가와 웹사이트와의 빠른 접근성, 간단한 코드인식의 편리함으로 주목 받고 있다. 그리고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 확장이 용이해 기업들은 유통, 웹 사이트, 제품홍보와 이벤트로 활용하고 있으며, 개인의 경우 간판이나 명함 등으로 활용하고 있다.  QR코드 활용사례 5월에 개최되는 여수박람회는 CNNgo가 뽑은 ‘2012년 꼭 가봐야 할 곳’ 1위로 선정되면서 전세계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발맞춰 마스코트(여니,수니)를 QR코드에 활용해 눈길을 사로잡는다. 기존 흑과 백의 QR코드와 달리 컬러풀 하면서도 여수 세계 박람회의 브랜드를 알릴 수 있는 디자인을 보여준다. QR코드를 스캔하면 박람회/전시/관광정보 안내를 확인할 수 있다. 5월에 개최되는 여수박람회는 CNNgo가 뽑은 ‘2012년 꼭 가봐야 할 곳’ 1위로 선정되면서 전세계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발맞춰 마스코트(여니,수니)를 QR코드에 활용해 눈길을 사로잡는다. 기존 흑과 백의 QR코드와 달리 컬러풀 하면서도 여수 세계 박람회의 브랜드를 알릴 수 있는 디자인을 보여준다. QR코드를 스캔하면 박람회/전시/관광정보 안내를 확인할 수 있다. 신사동 가로수길에 위치한 한 매장의 입구에 있는 이 자판기에는 양말모양이 디자인된 QR코드를 볼 수 있다. 이는 매장의 특성과 양말 자판기의 특징을 잘 살리면서 위트가 느껴진다.​​ 앞에서 언급했듯 QR코드는 때와 장소에 상관없이 어디서나 인식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웹 공간에서도 QR코드를 이용한 이벤트를 만나볼 수 있다. 나이키 스토어 오픈 1주년 사이트의 QR코드 찾기 이벤트는 나이키 홈페이지 내에서 서 QR코드를 찾아 스캔하면 모바일 화면으로 바로 당첨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홈페이지와 제품을 함께 홍보할 수 있는 이벤트이다.  에뛰드 하우스도 QR코드를 스캔해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으면, 할인쿠폰을 증정하고, 에뛰드를 사용하는 사람들과 친구를 맺으면 경품을 주고 있다. 또한 얼굴에 직접 가상 메이크업을 해볼 수 있어 제품 선택 시 유용한 팁을 제공하는 등 활발하게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다. 바코드와 달리 QR코드는 누구나 쉽게 만들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네이버나 다음 같은 포털사이트에서 만들수 있고, 기타 QR코드를 만들어 주는 사이트에서도 개인이나 단체 QR코드를 만들 수 있다. 앞으로 QR코드를 이용한 기업과 개인의 수만큼 그 활용도 또한 높아질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출처] http://magazine.jungle.co.kr/cat_magazine/detail_view.asp?master_idx=14652&pagenum=1&temptype=5&page=1&code=&menu_idx=144&main_menu_idx=42&sub_menu_idx=52 

2012.08.02

2012.08
02

웹사이트 디자인, 5가지 디자인 트렌드 활용법

오늘날 많은 사용자들이 새로운 기술 그리고 스마트폰과 태블릿 시장의 인기와 함께 온라인을 통한 액세스 및 상호작용의 트렌드가 크게 변화되고 있는 상황이며,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한 웹사이트 이용자가 크게 늘어나고 있다는 것을 미디어를 통해 자주 접했을 겁니다.웹사이트 유지 및 디자인은 규모가 큰 기업이나 기관의 경우, 넉넉한 예산이 마련되어 있어 웹 산업의 변화 트렌드에 맞춰 웹사이트를 무리없이 변경할 수 있는 여유가 있겠지만, 타이한 예산과 아웃소싱에 의존하는 일반 중.소기업에게는 결코 쉽지 않은 일입니다. 하지만 일반 중.소기업도 변화하는 글로벌 웹디자인 트렌드를 잘 활용해 기업 웹사이트를 개선하게 되면, 큰 비용을 들이지 않고도 충분히 트렌디하고 미려한 그리고 인터렉션이 원만한 웹사이트를 디자인 및 유지할 수 있음을 전문가들은 조언하고 있습니다.아래와 같이 웹 전문가들이 선별한 5가지 웹사이트 디자인 트렌드를 바탕으로 웹사이트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구축하고 발빠르게 디자인 개선을 진행해 나간다면 중소기업들도 앞으로 더욱 더 심화될 모바일 웹과 소셜미디어 환경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게 될 것으로 보입니다. 5가지 웹사이트 디자인 트렌드에 관하여 1. Flash 사용은 가급적 피할 것인터랙티브하고 역동적인 웹사이트 디자인에 있어 플래시 사용은 지극히 당연한 것인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만약 회사가 웹사이트 유지 및 디자인에 소규모의 꽉 짜여진 예산을 준수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플래시 애니메이션 및 비디오 활용을 제외하는 것이 좋습니다.대신에 HTML5, JavaScript와 CSS3를 활용하는 센스를 발휘하는 것이 더 나을 수도 있으며 모바일웹환경에 대응하기가 수월해 질 수 있습니다. 참고로 Flash를 완전히 배제하기 보다는 가급적 효과적이고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적용하는 테크닉을 발휘해야 한다는 것은 잊지 말아야 합니다. 2. 웹폰트(글꼴)의 사용웹사이트 디자인에서 타이포그래피는 미려하고 효율성 높은 웹사이트를 디자인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이지만 웹사이트 디자인의 결정적인 핵심사항은 아니라고 할 수 있습니다.그러나 고객에게 보다 나은 기업의 메시지와 가치를 전달하는데 있어 타이포그래피는 큰 역할을 하게 됨으로 좋은 맞춤형 웹폰트를 사용하는 것은 아주 바람직한 부분입니다. 여러분의 웹사이트에 어떤웹폰트를 적용하면 좋을지 충분히 고려해 보는 것을 제안하고 있습니다. 3. 모바일 호환성(Mobile Compatibility) 스마트폰의 출시 이후, 모바일을 통한 서핑은 세계의 수많은 사용자들이 이용하는 하나의 일상이 되었습니다. 마치 하나의 새로운 세상을 만난 것과 같습니다. 오늘도 모바일에 접속해 머무르는 사용자들이 수없이 많다는 사실을 간과해서는 안됩니다.최근 들어 크고 작은 모든 기업과 금융사들이 많은 사용자들에게 한걸음 더 다가갈 수 있도록 발빠른 준비를 서두르고 있는 것도 그런 까닭입니다. 어떠한 모바일 버전과도 원만하게 호환되는 웹사이트 디자인을 제공한다는 것은 고객에게 최대의 혜택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고 그들로 하여금 기업의 마인드를 높게 평가하게 하는 좋은 요인이 되기도 합니다. 4. 소셜 미디어(Social Media) 활용만약 잠재고객과 폭넓은 접촉을 기대하고 그들을 액티비티 고객으로 활용하려고 한다면 SNS는 더할 나위 없이 유용한 솔루션이 될 것입니다. 트위터(twitter)와 페이스북(facebook) 등과 같은 소셜미디어는 브랜드 입지와 웹사이트 트래픽을 창출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고 있어 인터렉션과 커뮤니케이션의 최근 트렌드가 되고 있습니다. 5. 미래지향적 감동을 추가중소기업으로서, 웹사이트 디자인에 모든 첨단 트렌드를 수용하기란 벅찬 일이고 감당할 수 없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웹사이트에 웹 기술 개발의 최고 혜택을 누를 수 있도록 일부라도 CSS3 또는 HTML5를 도입, 미래지향적 감동을 전달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습니다.끝으로 세부적으로 고려하고 최적화해야 될 디자인 요소들이 많지만 위에서 언급한 '5가지 웹사이트 디자인 트렌드'만 잘 참고해 반영한다면 보다 나은 웹사이트 효율성을 기대할 수 있을 겁니다.   ​http://magazine.jungle.co.kr/cat_magazine/detail_view.asp?master_idx=14222&pagenum=1&temptype=5&page=1&code=&menu_idx=41&main_menu_idx=42&sub_menu_idx=56​ 

2012.08.02


창원 Office

경남 창원시 의창구 의창대로 282번길
4-8 남산빌딩 3층

부산 Office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센텀중앙로 97
센텀SKYBIZ A동 2303호

연락처

T. 055-286-1102
F. 055-286-1239

Copyright 2018 BARAEM INTERACTIVE co.,ltd. all rights reserved.